Daum을 방문하는 사람들에게는 항상 예상치 못한 상황으로 인해 불쾌감을 느끼게 되기 쉽상이다.
이런 놀람과 함께 불쾌감을 안겨주는 주범은 바로 사이트 맨 위의 명당자리를 차지하고 있는 Flash 광고. 👿

항상 산만한 그림들로 클릭되기만을 호시탐탐 노리는 이놈들은, 언제부터인가 실수로 마우스 포인터가 스치기만이라도 하면 갑자기 예상하지도 않았던 듣기 싫은 소리를 내며 아우성을 쳐댄다. 방문자로서는 길 가다가 호객꾼에게 뒤통수를 잡아 채 이는 것과 같은 불쾌감을 자아내기 마련.

과연, 광고주와 서비스 제공자는 사용자 입장에서 그들의 소비자가 경험하게 될 이러한 불쾌감을 전혀 예상하지 못했을까? 사용자를 불쾌하게 만들면서 그들이 얻을 수 있는 광고 효과는 과연 얼마나 될 것이라고 착각하고 있는지?

광고주의 판단 실수로 인해, 결국 사용자가 어쩔 수 없이 극단적으로 선택할 수 있는 방어책으로는 광고를 아예 차단해 버리는 것이다.

Safari 사용자는 PithHelmet을 설치하고 새로운 차단 규칙을 만들어서 amsv2.daum.net 도메인에서 보내는 모든 광고들을 차단하는 것. 이때 “Block URLs from 3rd party sites” 설정도 선택해 주어야 한다.

PithHelmet의 광고 차단 규칙 편집창의 그림

Firefox를 쓸 경우에는, Flashblock 확장자를 설치해서 Flash 표시 기능을 꺼주기만 하면 된다. 그런데, Flash 메뉴들만으로 도배된 접근성을 전혀 고려하지 않은 다수 한국 사이트들의 특수성으로 인해, Flash 표시 기능을 완전히 꺼버리지도 못한다. 심지어, 그나마 잘 만들어 졌다는 올해 Web Award Korea에서 발표한 우수 웹 사이트들의 면면을 살펴보아도, 대부분이 웹 접근성과 사용성이 떨어질 수밖에 없는 Flash 메뉴들로 이루어져 있는 현실이다. 😡

어딜 가나 방문자들의 웹 사용 유형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고, 사이트를 방문하면서 체험하게 되는 사용자의 만족도를 존중해 주지 않는 사이트들은 발길을 돌리게 할 뿐이다.

Particletree에 올려진 Levels of Web Development Knowledge라는 제목의 글을 보면, 웹 개발에 필요한 분야별 표준 기술들에 대한 이해도 수준을 여러 단계별로 규정해 놓은 글들이 모여있다.

공통적으로 보면, 어느 기술이든 5 단계의 이해도를 가지고 있는 사람이라면 어느 정도 원숙한 기술의 이해도를 지니고 있으며, 이를 뛰어넘어 6 단계의 수준에 오른 이들은 기존 기술에 대한 완벽한 이해도 뿐만이 아니라 기존 기술의 부족한 면을 개선하려는 의지가 강하고, 그래서 미래를 위한 새로운 표준을 도출하고자 각 산업 기술의 경향을 이끄는 선도자적 위치에 있는 사람들로 정의하고 있다.

물론, 각 단게별 수준 차이보다 5 단계에서 6 단계로의 도약은 변화를 이끌기 위한 더 많은 노력과 열정이 필요하다.
그런데, 이런 개선을 위한 변화를 이끌어 내려면 표준 기술의 이해도 높아야 하겠지만, 변화를 이끌어 낼 대상이 되는, 현재 적용되고 있는 기술 산업의 변화 유연성도 높아야 하겠고, 웹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들의 주체인 고객의 이해도도 같이 따라와야 할 것이리라.

여기서 꽉 막힌 고객들을 대할 때는, In Defense of Difficult Clients라는 글이 참고가 될지도. 바로, 자신이 믿고 있는 지식에 대한 지속적인 재성찰과 변화를 위한 도전만이 계몽의 길로 나아갈 수 있는 자세란다.

꼬리표:

 없음.

W3C의 Web Application Formats Working Group은 미국 시간으로 어제(11.09) Widget 1.0의 첫 기초 표준안을 공개하였다.

이미, Web 기술은 웹 브라우져들의 영역에서 벗어나 Apple의 Dashboard나 Yahoo! Widgets Engine 그리고 Google Desktop 상에서 적용/구현되고 있으며, 앞으로 발표될 Windows의 Vista에서도 이러한 추세에 맞춰 Sidebar의 Gadgets이란 이름으로도 적용될 예정이다.
그런데, 이들 모두는 client-side Web 어플리케이션들로서 그 운용 기술은 같은 것이지만 배포와 적용 환경은 제각기 다르다. 하지만, Widgets 요구사항에도 밝혀져 있듯이, 이번 기초 표준안의 마련으로 과연 앞으로 widgets의 배포에서부터 시작해서 적용 환경까지 통합될 수 있을지는 지켜볼 일이다.

CSS 3의 선택자들(selectors) 가운데에는 HTML 요소들이 가지고 있는 특정한 형태의 속성 값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모양을 정의해 주는 것이 가능하다.

그래서, CSS 3에 새로 소개된 추가 속성 선택자들 중에서 [att^=val] 형태의 선택자를 이용하면 문서 밖으로의 연결 고리들을 따로 구분해서 꾸며줄 수도 있다. 이렇게 하면, 독자들에게 새로운 창에서 바깥 연결 고리들을 따로 열 수 있게 하는 선택권을 줄 수가 있는 것이다.

실제 사용 예를 보면, 모든 외부 연결 고리들은 http:로 시작하기 때문에, 다음과 같이 정의해 줄 수 있다:

a[href^="http:"] {
  background: url(images/externalLink.gif) no-repeat right top;
  padding-right: 10px;
}

이렇게 하면, 모든 외부 연결 고리들은 externalLink.gif 그림 파일의 배경을 덤으로 갖게 된다. 물론, 내부 문서들로의 연결할 때 상대적 URLs 대신에 절대적인 주소를 사용한 경우도 있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정의도 필요하다:

a[href^="http://www.yoursite.com"]a[href^="http://yoursite.com"] {
  background-image: none;
  padding-right: 0;
}

이 기술은 Mozilla 계열과 Safari 그리고 IE7을 포함한 대부분의 표준을 지원하는 브라우져들에서 적용 가능하만, 그렇지 않은 경우라도 단지 무시만 해버린다.

물론, 전자 우편이나 AIM 주소 등에도 비슷하게 적용해 줄 수가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