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pple의 Mac 광고들에 Mac을 대표하는 모델로 나와서 더욱 유명해진 Justin Long. 광고 속에서 그가 차려입었던 옷들과 신발의 가격표란다. 그와 똑같이 꾸미려면 아무래도 Apple의 하드웨어 값 만큼이나 비싼 돈을 써야할 것이다.
물론 Mac 사용자처럼 보이게 하기 위해 굳이 비싼 돈을 들일 필요가 있겠는가?
사과딱지나 하나 가방에 붙여 놓으면 만사 오케이!
날씨가 쌀쌀하니 긴 팔 옷들을 꺼내 놓아야겠다.
Open Web 짝사랑. iOS Programming.
Apple의 Mac 광고들에 Mac을 대표하는 모델로 나와서 더욱 유명해진 Justin Long. 광고 속에서 그가 차려입었던 옷들과 신발의 가격표란다. 그와 똑같이 꾸미려면 아무래도 Apple의 하드웨어 값 만큼이나 비싼 돈을 써야할 것이다.
물론 Mac 사용자처럼 보이게 하기 위해 굳이 비싼 돈을 들일 필요가 있겠는가?
사과딱지나 하나 가방에 붙여 놓으면 만사 오케이!
날씨가 쌀쌀하니 긴 팔 옷들을 꺼내 놓아야겠다.
오랜만에 ResExcellence를 방문해 보니, 현재 대문에는 이름만 덩그러니 걸려있다.
주인장이 바뀌고 나서부터는 사이트의 갱신이 더디게 이루어졌던 것은 눈치챘었지만, 이렇게 개점휴업상태가 된 것을 보니 무척 아쉽다. 😳
전에는 거의 매일같이 ResExcellence에 올라오는 다양한 종류의 테마들을 구경하기도 하고, 또 ResEdit이라는 막강한 Resource 편집 도구를 사용해서 그 곳에 소개되었던 여러가지 시스템의 이곳저곳을 색다르게 바꾸는 방법들을 따라해 보기도 했던 곳이었는데, 이렇게 그림자만 남겨두고 사라지는 모습을 보면 이제 기억 속의 추억으로만 남겨지는 것 같아 아쉽다.
물론, 지금은 예전 보다 손쉽게 OS X의 겉모양을 입맛대로 바꿀 수 있는 환경이고, 또 다양한 테마 관련 도구들도 계속 발표되고 있지만, 결코 예전 향수까지 대신할 순 없을 것이다.
아무쪼록, 예전의 활기를 다시 되찾기를 바란다.
일반 Windows 사용자들이야 굳이 Safari를 돌려보겠느냐마는, 아직까지는 그냥 맛보기만 할 수 있다.
지대한 관심들의 집중과 더불어 나의 게으름도 한 몫 하면서, 현재는 스티브 잡스씨의 WWDC 개막 연설(Vista! 그래, 따라올테면 어디 한 번 따라와 봐!)을 감상할 수 있는 기회를 잡기가 무척 어렵다. 😳
끌어오르는 호기심을 달래기 위한 Leopard 엿보기만으로도 벌써 내년 봄이 기대되는군.
아! 요즘은 보면서 참견하고 싶은 것들이 너무 많아. 😐
MacUser에는 Flash로 재창조된 Mac OS X를 소개하는 글이 올라와 있다.
iFrizzle 사이트에 가면, 하얀색 혹은 검정 MacBook, MacBook Pro, Cinema Display, iMac 상에서 보여지는 Flash로 구현되는 Mac OS X를 구경할 수 있단다. 또, 비슷한 사이트로 FlyakiteOSX가 있는데, 이 곳에서는 JavaScript로 그럴듯하게 흉내를 냈다고.
예전 Mac OS 9 이전의 시절에서도 Mac OS 8을 흉내낸 비슷한 시도가 있었지만, 지금도 이러한 시도는 여전한가보다.
앞으로는 과연 그저 볼거리가 아닌, 실제 웹 기반 OS의 탄생도 지켜볼 수 있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