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lueprint CSS 프레임워크를 이용한 Grid System 구현을 도와주는 Boks라는 이름의 Air 애플리케이션이 나왔다. grid와 baseline rhythm 설정이 가능하고, 자신의 CSS 파일도 따로 추가해서 디자인 결과물을 압축된 단일 CSS 파일로 합쳐서 뽑아낼 수 있다.
요새 참 많은 유용한 Air 애플리케이션들이 계속 등장하는군.

소통의 시도가 또 한번 무산되었다.
결국, 꽉 막힌 공간은 썩고 부패하기 마련인데, 곪아 터진 상처를 언제까지 그냥 모른체 할 것인가?
요새 보편적이고 다양한 웹 기술들을 웹 브라우저의 영역 밖으로 끄집어내서 데스크탑 애플리케이션으로 탈바꿈시키려는 많은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는데, 그 중에도 Adobe AIR runtime 환경을 이용한 많은 인터넷 애플리케이션들을 선보이고 있다. 여기에 웹 개발자들에게 유용할만한 몇몇 대표적 애플리케이션들을 소개한다.
– Shrink O’Matic : 어플리케이션 창에 그림 파일을 떨구면 원하는 크기로 줄여준다. 그림의 크기와 비율 조정이 가능하고 JPG, GIF, PNG 그림 형식을 지원.

– Balsamiq Mockups : Web UI 디자인 도구로 다양한 종류의 UI 요소들을 불러와서 실제 완성된 디자인과 비슷한 모형을 간단하게 묘사해 낼 수 있다. 웹 UI 디자인을 위한 wire-framing 도구로도 최적. 유료($79)지만, 5분마다 뜨는 구매 안내 창을 닫는 수고가 아깝지 않을 정도로 완성도 높은 프로그램.

– Adobe Kuler Desktop : Adobe Kuler가 제공하는 다양한 색상들의 테마 모음을 간편하게 검색해서 사용할 수 있다.
– Contrast-A : 3차원 RGB 색상 그래프에서 선택된 색깔 조합들이 WCAG 2.0과 1.0 기준에 준한 색상의 밝기 대비 비율과 색맹 시뮬레이션 적합성 통과 여부를 검사해주는 도구로, 웹 접근성 향상을 도모하는데 아주 유용.

– jQuery API Browser : 인기 많은 JavaScript 프레임워크인 jQeury의 API를 궁금할 때마다 간편하게 검색해서 열람.
블로그 형태의 대표적 CMS로 제일 먼저 WordPress가 떠오르지만, 보다 폭 넓은 형태의 “Web Community” 형성을 위한 다양한 user roles을 지원하는 CMS로는 약간 아쉬울 수 있다. 이럴 때 고려할 수 있는 대표적 CMS platfrom의 하나로 Drupal이 명성을 얻고 있는데, 마침 기회가 되어 로컬 시스템에 설치해서 여기저기 둘러보고 있는 중이다.
아무래도, Drupal의 장점이라면 우선 다양한 추가 modules을 통한 맞춤식 기능 확장이라 하겠는데, 처음 Drupal을 설치하면서 자신의 용도에 맞는 modules을 찾기란 무척 당황스럽고 어려운 일인지라, 쓰임새 많은 몇 개의 필수 module들을 적어놓는다.
- Poormanscron – Drupal의 cron 작업을 특별한 설정 없이 주기적으로 자동 실행시켜준다.
- Wysiwyg API – 문서 작업시 여러 종류의 클라이언트 편집기 – 일명 WYSIWYG editors -를 가져와서 쓸 수 있게 한다. (하지만, 마음에 드는 놈을 아직 찾지 못했음)
- Pathauto – 문서의 ‘path aliases’를 자동으로 생성시켜줄 수 있다.
- Token – 위의 pathauto modules 설치시 필요.
- Views – 여러 설정 조건들을 충족시키는 다양한 형태의 문서 내용을 표시해준다.
- Content Construction Kit (CCK) – 문서의 custom fields 추가를 손쉽게 해준다.
- Contemplate (Content Template) – CCK modules과 함께 사용해서 각 fields의 표시 순서와 형태를 입맞에 맞게 바꿀 수 있다.
- google_analytics
다음은 Drupal을 위한 modules과 themes을 모아놓은 사이트
Drupal을 둘러보던 중 몇몇 CMS 비교 글들에서 종종 언급되고 있는 또 다른 CMS platform에도 관심을 가지게 되었는데, 가장 훌륭한 templating system을 가지고 있다는 일명 CMF로도 분류되는 신생 MODx에도 자꾸 눈길이 끌림.
아래는 프로젝트에 가장 적합한 CMS를 고르는데 참고가 될 만한 글이다.
결국 모든 프로젝트를 완벽하게 충족시켜주는 CMS란 존재하기 어려운 것이고, 그 만큼 각 프로젝트의 성격과 요구 조건에 맞는 CMS를 고르는 일도 중요하다는 결론. 결국 다양한 CMS를 직접 두루두루 써봐서 그 장단점을 몸소 체험할 수밖에.
JavaScript 코딩을 하거나 CSS 디자인을 하다 보면, 웹 문서의 DOM에 위치한 특정 element를 끄집어내기 위해 CSS selector를 지정해 주어야 할 일이 많은데, 복잡한 구조 속에 위치한 특정 element만을 끄집어 내기 위한 맞춤형 selector를 정의하기란 종종 난처할 때가 있다. 이럴 때 SelectorGadget은 안성맞춤의 CSS selector를 생성하는데 도움을 준다.
SelectorGadget bookmarklet을 책갈피 해놓고, 필요할 때마다 실행해서 point and click만으로 족집게 CSS selector를 얻을 수 있으니 아주 요긴한 도구가 될 듯. 아직 IE7에선 약간 문제가 있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