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눈에 띈 신문 기사에는 미국의 Brown University에서 조사한 글로벌 전자정부(Global E-Goverrnment), 2006의 결과에서 한국 정부의 홈페이지가 198개국 중 1위를 기록했다고 한다.

내가 알고 경험한 것들에 의하면 결코 이런 결과가 나올 수 없는데, 과연 그렇다면 이런 결과가 어떻게 나올 수 었었단 말인가?

자세한 조사 내용이 담긴 Global E-Government Full Report, 2006(pdf)를 살펴보면 1위로 올라서게 된 과정을 알 수가 있다.

이 조사 결과에 따르면 한국 정부 홈페이지의 항목별 채점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한국 정부 홈페이지의 항목별 채점 결과
CountryOnline ServicesPublicationsDatabasesPrivacy PolicySecurity PolicyW3C Disability Accessibility
Korea, South85100100851515

결과를 보면, 전체 점수는 1위를 했어도, 항목별 점수는 초라할 정도로 심한 불균형을 이루고 있다.
아무리 홈페이지가 훌륭하고 풍부한 내용을 담고 있더라도, 장애를 가진 사람들이나 적은 수의 OS 사용자들에게 접근 자체를 가로막는 웹 접근성이나 기초적인 보안에 심각한 문제가 있다면, 이것은 결코 자랑만 할 일은 아니지 않은가?

조사 대상국들 중 1위를 했다는 사실만 강조할 것이 아니고, 절대적으로 부족한 면들을 개선하려는 노력이 꼭 필요할 것이다.

덧. 겉으로 드러나는 사실이 모든 것을 말해주지는 않는다.

웹의 정신 중에는, 모든 이들에게 공평한 지식의 전달에 가치를 두고 있으며, 여기에는 어떠한 접근의 차별도 없어야 한다.
그렇다면, 혹시라도 있을 수 있는 정보 접근의 장애물들을 없애기 위해 자신이 사용하고 있는 블로그(blog)에는 어떠한 것들을 점검해 볼 수 있을까?

여기서는 참고를 위해서 American Foundation for the Blind(AFB)에 계시된 글들 중에서, 시각 장애인들에게도 접근이 용이한 블로그 만들기라는 제목의 글을 옮겨놓는다.
시각 장애인들에게도 접근이 용이한 블로그(이)란 제목의 글 마저 읽기 →

오랜만에 IEBlog에 IE7에 적용될 CSS 변화들에 관한 환영할 만한 글이 올라와 있다.

여기에는 <!DOCTYPE> 전환에 의한 strick 모드 하에서만 적용되는, CSS2.1와의 호환성을 높이기 위한 거의 200 개 이상의 변화들과 개선된 사항들이 있을 예정이라고 한다.

물론 예전의 잘 못된 습관들에 의해서 개발된 사이트들은 이에 따른 수정도 불가피하게 되었지만, 수정에 필요한 도구들도 마련해 두었다고 하니 지켜볼 일이다.

웹 2.0 시대의 웹 접근성 평가 이벤트라며 최근 정보통신부의 웹 접근성 표준안에 맞추어 다시 지어진 부산시 홈페이지를 대상으로, 웹 접근성 항목들을 준수하지 않은 페이지의 오류들을 접수하고 경품을 주는 행사를 하고 있다.

그런데 행사 소개 페이지하며 새로 고쳤다는 부산시 홈페이지는 왜 저 모양인지… 🙁
뜯어고치면 시간낭비고 처음부터 다시 짓는 것이 더 수월할 것이다.

신경을 쓰려는 노력이라도 보여서 다행스럽다고 해야겠지만, 또 한편 웹 표준의 이해가 부족한 우리나라 웹 개발자들의 현실을 드러내는 것 같아서 안타깝다.
개발자의 무지는 결국 사용자의 불편으로 돌아온다.

456 Berea Street에 올라온 글을 보면, 저자인 Roger씨가 웹 표준(HTML 4.01 Strict)에 맞게 다시 설계한 Google의 대문 페이지를 공개하였다. 결과적으로 페이지는 웹 표준을 준수하면서도 그 크기 또한 원래보다 1,042 bytes 만큼 줄일 수 있었다고 한다.

이로써, Google은 인터넷 접속 대역폭을 절약하기 위해 어쩔 수 없이 표준에 맞지 않는 HTML 코드를 사용해야만 했다는 속설은 사실이 아니라는 판명이다.

그렇다면, 왜 기술을 선도하면서 앞선 기술을 잘 활용하고 있다는 Google이 웹 표준 준수에 따른 여러가지 이점들을 제처두고, 여전히 표준에도 맞지 않는 코드를 고집하고 있는 이유는 무것일까? 과거 웹 브라우져들과의 호환성을 위해서인지, 아니면 단순한 개발자의 무시 혹은 서버 환경의 경직성이든지 간에 우리는 그저 추측만 할 수 있을 뿐이다.

웹 접근성과 웹 표준의 준수는 같은 목표를 공유하고 있다는 것을 누구나 알고 있을진데, 과연 그 둘을 동시에 만족시키기란 기술적으로 그렇게 어려운 것일까?

관련 글: Google Strict vs Google Deprecated

추가 갱신: Google Goes To Web Standardsville, Part Tw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