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obert씨의 블로그에는 유능한 웹 인터페이스 개발자를 구할 때, 꼭 물어봐야 할 몇 가지 사항들을 적어놓은 글이 올라와 있다.
그 곳에 올려진 질문 항목들을 옮기면 다음과 같다:
- 왜 DOCTYPE이 중요한가?
- Quirks Mode, Almost Standards Mode 그리고 Strict Mode의 차이점은 무엇인가?
- 의미론적(semantic) 코딩이란 무엇이고, 이것이 왜 중요한가?
- 박스 모델(box model)이란 무엇인가?
- hasLayout의 문제를 설명하고 이것에 대한 대처 방법은?
- CSS에 정의되어 있는 한정성(specificity)이란 무엇인가?
- CSS에서의 float들은 어떻게 동작하는가?
- WAI란 무엇인가?
- 만약 글꼴 크기를 픽셀(pixels) 단위로 지정했을 경우, Internet Explorer에서는 어떤 문제가 발생하가?
- Internet Explorer에서는
alt
속성을 어떻게 처리하고 있으며, 결과적으로 어떤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는가?
대부분의 항목에 대한 질문과 해답은 이미 웹 상에서도 많이 논의되었던 것들이지만, Almost Standards Mode의 존재는 처음 알았다.
물론 위에서 던져진 질문들 중에서, Internet Explorer와 관련된 박스 모델과 hasLayout 문제 그리고 alt 속성 처리와 글꼴 크기 관련 문제는 Internet Explorer 7의 발표와 함께 험난했던 과거의 웹 개발 기록으로만 남게 될 듯하지만, 새로운 상황에 대처하기 위한 또 다른 골치거리들이 등장할 터이고, 따라서 의미론적 코딩과 웹 접근성에 관한 고찰 그리고 웹 표준에 대한 이해는 한결 더 중요하게 요구되어 질 것이다.
– 새로 덧붙임: 친절하게도 Robert씨는 자신의 블로그에 썼던 유능한 웹 인터페이스 개발자를 구할 때, 꼭 물어봐야 할 항목들에 대한 해답들을 올려놓았다. JavaScript에 대한 이해와 접근성에 끼칠 수 있는 폐해가 추가 덕목으로 더해졌다.
– 추가 참고의 글들
물론 여기에 소개된 꼼수들은 완전한 세상에 살고 있다면 불필요한 과정이겠지만, 냉험한 현실 속의 웹 브라우저들은 개발자들에게 차별 대우를 요구한다.
IE 7에서는 이제 CSS의 maxHeight 속성을 이해한다는 것을 이용해서, 다음과 같은 JavsScirpt 코드로 구별할 수 있다:
if (typeof document.body.style.maxHeight != "undefined") {
} else {
}
IE 7의 변화에 따른 다음과 같은 더 간단한 방법도 있다:
if (window.XMLHttpRequest) {
} else {
}
물론, 전통적으로 사용되어 왔던 MSDN에 자세하게 소개되어 있는 조건부 주석을 이용한 구별 방법도 유효하다:
... 기타 브라우져들을 위한 코드
덤으로, CSS 속성 이름 앞에 * 혹은 .(점) 그리고 _(밑줄)이 붙어있는 경우에는 브라우져들 마다 제각기 다르게 인식한다는 것을 이용해서 다음과 같은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다. (IE8의 경우 스타일 선언문 마지막에 꼭 “\9″을 붙여주어야 한다.):
#header {
margin: 10px;
margin: 12px\9;
*margin: 15px;
_margin: 20px;
}
* html #someDiv { color: red }
*+html #someDiv { color: red }
– 참고 글
올해 9월 San Francisco에서 열렸던 The Future of Web Apps 회담의 개요 페이지에 가면 행사 사진들과 발표자들의 발표 내용이 담긴 슬라이드들 그리고 여기에 딸린 오디오 파일들을 들어볼 수 있다.
현재와 미래의 웹 개발에 사용될 여러 기술들과 그 경향을 미리 맛보려면 꼭 챙겨야 할 것들. 회담의 개막 소개 영상도 멋지군. 8)
다음 회담은 2007년 2월 13일부터 이틀간 London에서 열릴 예정이다.
꼬리표: 없음.
예쁜 아이콘들과 바탕 화면 그림들 그리고 맥의 아쿠아 인터페이스를 대체하는 여러 테마들을 모아놓은 InterfaceLIFT는 내가 자주 방문하는 곳인데, 마침 이 곳에 새로 올라오는 주제별 작품들을 Dashboard에서 바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InterfaceLIFT.com Widget이 Apple의 Dashboard Widget들의 소개 페이지에 등록되어 있다.

그런데, 쓰면서 한 가지 아쉬운 것이 있다면, 이왕에 편하자고 쓰는 거면 창에서 보여주는 아이콘들과 배경 화면 그리고 테마들 간의 선택을 뒤쪽 설정판까지 가서 설정해 줄 필요없이, 그냥 앞의 보여지는 창에서 바로 선택해서 볼 수 있다면 더 편하지 않을까?
목마른 사람이 우물을 판다고 (물론 제작자의 동의 없이), 뒤쪽에 있는 선택 메뉴를 앞쪽 판에도 추가하고, 덩달아서 메뉴 선택시 이미 선택되어져 있는 항목에 ✓를 올바로 표시해 주지 못 하던 벌레까지 잡게 되었다. 8)
이것도 물론 소스 코드가 완전히 공개되어 있는 widget의 개발 환경이 가지고 있는 장점 덕분에 가능한 일이다.
아무튼, 광적으로 widget들을 수집하는 습관 때문에 이미 Dashboard 화면에는 꽉 들어찬 모두 20개나 되는 widget들로 인해 더 이상의 자투리 공간마저 없는 실정이다. 이리저리 widget들의 자리를 바꾸어 주면서 남은 공간을 확보해 보려는 노력도 더 이상은 소용없을 지경이라서, 어쩌면 widget 수집광들의 필수도구라 할 만한 요놈을 설치해야 할 날이 올지도… 😛
여러가지 주제의 동영상 강의 교육으로 유명한 VTC에서 드디어 Ruby on Rails CD 타이틀을 발표하였다.
모두 7시간 정도의 분량으로, 내용을 보면 기초적인 Ruby와 Rails Framework의 소개 그리고 간단한 Web Application 제작과 그 적용 과정들을 다루고 있는 듯 하다.
어서 Rails를 타봐야 하는데, 아직 Programming Ruby, Part II에 머무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