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번 주에 공개된 Windows Vista Beta 2의 면면을 살펴보던 중, 너무나도 친숙한 기능을 발견하였다.

Windows Vista Beta 2 desktop

Windows Aero로 명명된, Mac OS X의 Aqua를 닮은, 반짝거리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바탕화면 오른쪽에 떠 있는 Sidebar란 놈이 있는데, 여기에 모여있는 Gadget들은 바로 Mac OS X에 있는 Widget들이 아닌가?

Sidebar의 Gadget 개발 문서를 살펴보면, 그 구조 또한 너무나도 닮았다. 이미, Windows 환경에서도 Yahoo! Widgets을 통해서 거이 똑같은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는 사실을 생각해보면, 사용자들이 Sidebar “Gadget”의 사용을 더 선호할 수 있을 만한 이유가 따로 있어야 하지 않을까? Gadget이 가지고 있는 이점이라면, 아마도 Windows Vista에는 기본적으로 그 실행 환경이 구현되어 있다는 정도일 것이다. 그러고 보면, 이것은 이미 Mac OS X 쪽에서도 있었고 또 현재 진행되고 있는 상황과도 비슷하다. 그래서, 기본 운영 체제가 밀어준다는 이점은 결코 얕볼 수만은 없을 것이다.

아무튼, Sidebar Gadget의 활용도는 결국 Gadget들의 사용자 선택 선호도에 의해 결정될 것고, 서로 닮아가는 두 운영 체제를 보고있으면 상당히 흥미롭다.
닮는다는 것은 서로의 모방에서 오는 결과인가 아니면 공통된 개발 논의와 환경에서 나오는 우연인가?
나중에는 Widgets/Gadgets 변환 도구라도 나오는 것은 아닐지 모르겠다. 🙄

만약 전체 개발자들 사이에 공유되는 만능 common.js 파일 같은 것이 있다면, 여기에 소개된 열 가지 (덤으로 하나 더) 함수들이 포함되어 있을 것이다. 이것들은 다용도 스위스 칼처럼 개발시 아주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것들이다. 이들 모두는 그 유용성이 이미 많은 사용자들로 인해 검증되었으며, 오늘날 가장 유용하게 사용되는 열 가지의 JavaScript 함수들이라 믿는다. 가장 많이 애용되는 열 가지 맞춤 JavaScript 함수들(이)란 제목의 글 마저 읽기 →

꼬리표:

 없음.

dashcode이 곳에 막 올라온 짧막한 글을 보면, 새로운 MacBook Pro를 구매한 어떤 한 사용자가 개발자 도구(Developer Tools)를 설치하고 보니 /Developer/Applications 폴더 밑에 생소한 어플리케이션이 자리를 차지하고 있더란다. 이 놈이 바로 소문으로만 떠돌던 그 "Dashcode"라네? 😯

다른 MacBook이나 MacBook Pro 구매자들은 개발자 도구를 깔아보았지만 이 Dashcode는 보이지 않는다고 하니, 의심되는 상황이었지만 우선 냉큼 받아서 실행해 보았다. (Apple은 또 의외의 깜짝 상황을 연출하고, 뒤에서 음흉한 미소를 짓고 있을지도 모르는 일.)
우발적으로 새어 나온 "Dashcode"?(이)란 제목의 글 마저 읽기 →

웹사이트를 개발하거나 꾸밀 때, 가끔은 실력과 창의력 부족으로 (아니면, 그냥 막연한 호기심으로) 남들이 작업해 놓은 것들을 참고할 때가 많다.
여기에는 이런 남들의 작업 결과물들을 빌려오고자 할 때를 대비해서 눈여겨본 곳들이다.

  • Favorite Favicons – 남들의 웹사이트들에서 사용하고 있는 Favicons들을 모아 놓은 곳.
  • Web Badges – 여럿의 웹 표딱지들(Web Badges)이 모여 있는 곳.
  • 80×15 Brilliant Button Maker – 위의 표딱지들 중에 마음에 드는 것이 없다면, 직접 만들어 보자.
  • Bullet Madness – 점(bullet)은 원래 항목들을 나열할 때, 주의를 끌기 위해 각 항목들 앞에 찍어놓은 점으로, 이 점을 대신에 사용될 수 있는 작은 점만한 그림들을 모아놓은 곳. 그 사용 영역은 넓을 것이다.
  • Feed Icons – 꾸림정보의 발신 신호(syndicated content)를 나타내는 아이콘들. (색깔별로 고를 수 있음)
  • AJAX Activity Indicators – 작업 진척도를 표시할 때 사용될 수 있는 그림들(animated gifs). (Ajax 처리는 사용자의 몫)
  • Drag and Drop Web Buttons – 몇 가지 미리 준비되어 있는 단추들을 끌어다가 입맛에 맞게 변형해서 완성된 단추들을 내려받을 수 있는 곳.
  • Markup Maker – 대략적인 웹 페이지 구조를 입력하면 표준에 맞는 XHTML를 자동 생성해 준다.
  • Web2.0 Logo Creator – 요준 유행하는 제목의 그림을 만들 수 있다. Beta 딱지는 보너스.
  • Web 2.0 Colour Palette – Web 2.0 시대에 어울릴 만한 색깔들의 모음.

아래는, 웹사이트의 구조적 탄탄함과 아이디어를 도모하기 위한 곳들.

내용 요약

“꼬리표(tag) 생성” 에서부터 “WYSIWOYS 생성”까지. Roberto Scano씨의 글에는 웹 세대 간 웹 접근성에 관한 문제들과 현재의 위치, 그리고 앞으로 우리가 기대할 수 있는 것들에 관해서 요약해 놓았다. 웹 접근성에 대해서 이해하고 고민하는 데 도움이 되는 글로 이곳에도 옮겨 놓는다.

저자: Roberto Scano

웹 접근성으로의 여행(이)란 제목의 글 마저 읽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