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WordPress(버전 1.5.2)는 Atom 발신 신호로 0.3 버전을 사용하고 있습니다만, 이는 공식적으로 더 이상 지원되지 않을 것이라고 합니다. 뒤를 이을, Atom 1.0은 거이 완성 단계이며, 이제 곳 IETF 표준으로 인정받게 될 예정이라는군요.

발신 신호로 많이 사용되는 RSS 2.0도 있는데 왜 값자기 Atom 1.0 소리냐구요? 이 곳을 보시면 RSS 2.0과 Atom 1.0의 장단점을 잘 비교해 놓은 글이 있습니다. 더불어서, 선택할 수 있는 발신 신호가 여럿이라면 사용자 입장에서는 구미에 맞게 선택할 수도 있겠지요.

앞으로 발표될 WordPress 1.6에서는 Atom 1.0 발신 신호를 지원할 예정이라고 합니다만, 미리 Atom 1.0 발신 신호를 쏴주고자 하시는 분들에게 그 방법을 소개해 드리고자 합니다.

WordPress에서 Atom 1.0 발신 신호를 쏴주는 방법은 비교적 간단합니다.

우선, Atom 1.0을 위해 수정해 놓은 wp-atom.php 파일을 열어서 따로 복사 php로 저장하고, WordPress의 기본 디렉토리에 있는 원래의 wp-atom.php 파일에 그대로 대치해 놓습니다. 이렇게 하면, Feed Validator (Atom 1.0 발신 신호 인준 기능은 아직 실험중-BETA)를 사용해서 갱신된 Atom 발신 신호가 올바로 되어 있는지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여기의 Atom 발신 신호는 Safari가 잘 낚아채기는 합니다만, 몇 가지 오류 문구들로 인해 아직 인준을 통과하지는 못 하는군요. 😕 )

마지막으로, WordPress의 theme 폴더 안에 있는 header.php 파일을 열고, Atom 발신 신호의 링크 관련 title 꼬리표 내용을 “Atom 0.3″에서 “Atom 1.0″으로 올바르게 바꿔주시면 되겠습니다.

물론, 이 곳처럼 표딱지에 Atom 1.0 발신 신호 그림을 달아두면 더 좋겠지요.

따옴 – dev.d10e.net

참고로, Rakaz씨의 Atom 0.3에서 1.0으로의 전환이라는 제목의 글을 읽으시면, 바뀐 Atom 형식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갱신 – 12월 15일에 갱신된 wp-atom.php 파일을 받아서 설치하면, 드디어 Feed Validator의 표준 인증도 무사히 통과한답니다.

아시다시피, iChatAIM(AOL Instant Messenger) 계정을 등록해서 사용할 수 있으므로, 기타 다른 AIM 호환 메신저 클라이언트(messenger client) 사용자들 간의 대화가 가능합니다.

그렇다면, iChat의 활성 상태를 자신의 웹 페이지에 실시간으로 보여주게 된다면 이것 또한 멋지고 한편으론 아주 유용할 것입니다.

방법은 비교적 간단합니다. 아래와 같이 자기 AIM 게정의 활성 상태(online/offline status)를 AOL 서버에서 가져와서 활성/비활성에 따른 해당 그림을 표시해 주기만 하면 됩니다. (물론 활성/비활성 그림들은 따로 마련해 두셔야 겠지요.)

<a href=”aim:goim?screenname=당신의 AIM 계정 사용자 이름&amp;message=활성 표시 그림을 눌렀을 경우 대화 창에 자동으로 입력되는 말”><img src=”http://big.oscar.aol.com/당신의 AIM 계정 사용자 이름?on_url=http://활성 상태를 표시할 그림의 주소\&off_url=http://비활성 상태를 표시할 그림의 주소” alt=”iChat Status” width=”그림의 넓이” height=”그림의 높이” border=”0″ /></a>

이 곳 표딱지의 iChat 그림 옆에 초록색 불이 들어오면, 언제든지 환영입니다. 😉

자기 생각만이 옳다고 믿는 것은, 신념이 굳다기보단 색안경을 쓰고 달빛 감상하기와도 비슷할 것이리라.
하물며 맨눈을 통과해서 망막에 맺히는 달빛 영상의 느낌은 그 개체 하나하나 마다 모두 달라질 터인데…

그렇다면, 과연 옮고 그름의 판단 기준은 무엇일까?

정해진 옳고 그름은 없고, 단지 유행하는 생각들만이 존재한다는 말을 되뇌어 보면,
유행에 뒤처지거나 앞서만 가도 이 세상 살아가기는 불편할 것이다.

하지만, 생각의 전환은 힘들다. 불편이 자극이 되길…

꼬리표:

 없음.

Drifting Clouds Icon 마침내 이런 widget이 있었으면 좋겠다고 개념만 잡고 있던 나의 첫 widget을 완성했다. 🙂
이름하여, 뜬구름 (Drifting Clouds).
비슷한 기능을 가지고 있으면서 이미 배포된 Radar In Motion이라는 훌륭한 widget도 있지만, 한반도 구역 위성 영상의 경우, 갱신 주기가 비교적 늦고 해상도 또한 낮아서 아쉬워 했던 차에…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위성 영상을 빌려오는 방법을 찾다가, 기상청 웹터의 얽혀있는 구조때문에 약간의 곁재주를 부려 결국은 후딱 만들어 버리게 되었다.

이렇게 Dashboard의 widget을 구현하는 데에는 특별한 지식이 필요 없고, 기본적인 web 개발 상식만 가지고도 쉽게 만들 수 있다는 점은 큰 매력이다.

현재는 무척 단순한 형태지만, 이름에서 풍기는 뜬구름처럼 Dashboard에서 덧없게 사라지는 꼴이 되지 않으려면, 앞으로 차근차근 기능들을 추가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