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막대에 그림자를 드리울 수도 있다!
무엇하러? "눈에 거슬리지도 않고, 화면 맨 윗 부분을 어둡게 조절해서 화면의 손상을 막을 수도 있단다."
아무튼, 아직까진 별 쓸모를 못 느끼지만, MenuShade를 돌려서 메뉴 막대에 그림자가 드리워진 모습을 보니 기묘하긴 하다.
다음엔, 아예 메뉴 막대를 없애버릴지도 모르겠군… 8)
Open Web 짝사랑. iOS Programming.
메뉴 막대에 그림자를 드리울 수도 있다!
무엇하러? "눈에 거슬리지도 않고, 화면 맨 윗 부분을 어둡게 조절해서 화면의 손상을 막을 수도 있단다."
아무튼, 아직까진 별 쓸모를 못 느끼지만, MenuShade를 돌려서 메뉴 막대에 그림자가 드리워진 모습을 보니 기묘하긴 하다.
다음엔, 아예 메뉴 막대를 없애버릴지도 모르겠군… 8)
Adobe Systems Incorporated의 Senior Creative Director인 Russell Brown씨의 사이트에는 Adobe Photoshop 관련 요령들을 모아 소개해 놓은 동영상들을 살펴볼 수 있다.
위의 강의 동영상들 중, Photoshop CS2를 위한 영상들은 온라인 동영상 강의 전문 판매 회사인 lynda.com의 Adobe 관련 페이지에서도 무료로 받아 볼 수 있음.
도대체 왜 벽에다 머리를 박고있는거야?
왜나면, 이 짓을 그만두었을 때는 기분이 한결 좋아지거든!
Why Vista will be GREAT! 글의 본문 중에서.
Mac 사용자들의 시각에서 바라보면, Windows 사용자들은 항상 만성화된 고통에 시달리고 있는 사람들로 비추어지기 마련이다. 하지만, 만성적인 고통을 받고 있는 대중들로서는 앞으로 발표될 Vista가 갖게 될 임무는, 결코 최신 Linux나 차기에 발표될 OS X Leopard와의 맞대결일 필요도 없고, 단지 노쇠해가고 있는 XP를 대체하기만 하면 될 뿐이란다. 😆
개인적으로, OS X에 내장되어 있는 Postfix mailer를 Postfix Enabler 가지고 켜놓고 사용하고 있다.
그런데, 어느날 갑작스런 메일 서버의 통신량 증가로 system.log를 살펴본 결과, 수상한 발자국들이 찍혀있는 다음과 같은 경고 문구들을 발견하게 되었다.
warning: numeric domain name in resource data of MX record for neticks.com: 127.0.1.51
warning: numeric domain name in resource data of MX record for neticks.com: 127.0.1.51
warning: valid_hostname: empty hostname
warning: malformed domain name in resource data of MX record for angelfire.com:
warning: numeric domain name in resource data of MX record for staa.com: 69.106.54.69
warning: valid_hostname: empty hostname
warning: malformed domain name in resource data of MX record for angelfire.com:
warning: numeric domain name in resource data of MX record for staa.com: 69.106.54.69
warning: numeric domain name in resource data of MX record for aolloses.com: 127.0.1.51
warning: valid_hostname: empty hostname
warning: malformed domain name in resource data of MX record for angelfire.com:
warning: valid_hostname: empty hostname
warning: numeric domain name in resource data of MX record for bioteda.com: 211.156.49.6
warning: numeric domain name in resource data of MX record for jaehnsautobody.com: 127.0.0.10
warning: numeric domain name in resource data of MX record for aolloses.com: 127.0.1.51
warning: valid_hostname: empty hostname
.
.
warning: mail2.remoteit.com[67.102.200.130] offered AUTH option multiple times
warning: mail.airewaves.com[216.24.174.202] offered AUTH option multiple times
warning: mail.visual-impct.com[206.80.23.8] offered AUTH option multiple times
warning: mx.rogersdesign.com[209.60.77.50] offered AUTH option multiple times
warning: mail.marketspacefinancial.com[199.227.43.234] offered AUTH option multiple times
warning: mail.ruralfree.net[209.213.15.65] offered AUTH option multiple times
warning: mail.spec.net[205.167.92.100] offered AUTH option multiple times
warning: imail.ipswitch.com[156.21.1.5] offered AUTH option multiple times
warning: mail.snworks.com[63.75.167.9] offered AUTH option multiple times
warning: mail.komo.com[64.83.205.251] offered AUTH option multiple times
warning: ns2.fourway.net[216.223.165.6] offered AUTH option multiple times
warning: sw1.la-lakers.com[66.226.3.253] offered AUTH option multiple times
warning: mail.pxgp.com[207.201.223.114] offered AUTH option multiple times
warning: mail.pageconcepts.com[204.118.3.168] offered AUTH option multiple times
warning: mail.netscape.everyone.net[216.200.145.10] offered AUTH option multiple times
이런! 😯 수시로 알 수 없는 곳에서 계속 나의 메일 서버를 relay 서버 삼아 쓰레기 전자우편들을 보내려고 시도하고 있는 것이 아닌가? 👿
이것을 계기로 아래는 꼭 살펴보아야 할 Postfix의 보안 관련 필수 설정 항목들을 모아 보았다.
– SASLDB를 사용한 SMTP 암호 인증을 사용하지 않는 한 꼭 SSL 암호화 기능을 켜서, 만에 하나 암호가 중간에 가로채어지는 일을 방지할 것.
– /etc/postfix/main.cf:
# 인가된 네트워크에서만 접속을 허용.
smtpd_client_restrictions = permit_mynetworks, reject
# 자신의 hostname을 모르는 메일 시스템한테는 얘기를 안함.
# Postfix 버전이 < 2.3일 경우, reject_unknown_hostname를 지정.
smtpd_helo_restrictions = reject_unknown_helo_hostname
# 존재하지 않는 도메인에서는 전자우편을 받지 않음.
smtpd_sender_restrictions = reject_unknown_sender_domain
# 로컬 클라이언트들은 목적지의 지정이 자유로우나, 그 이외에는 차단.
smtpd_recipient_restrictions = permit_mynetworks, reject_unauth_destination
# pipelining 명령을 못 알아드는 엉성한 클라이언트들은 차단.
smtpd_data_restrictions = reject_unauth_pipelining
# relay_domains_reject_code 변수는 SMTP 서버가 메일 전달 지침을 무시하려는
# 클라이언트들에게 어떻게 응답할 것인지를 지정함.
# 이것의 변수는 RFC 821를 따름. 기본값은 554: Transaction failed.
# 550: no access
relay_domains_reject_code = 550
# SMTP 클라이언트들은 SMTP 세션을 시작하기 전에
# 먼저 자신의 정체를 밝히도록 함.
smtpd_helo_required = yes
# 메일 전달 목적지가 Postfix에 의해 인가된 곳이더라도,
# 인가되지 않은 곳으로부터의 어떠한 메일 전달도 허용하지 않도록 함.
# 기본적으로 설정되어 있는 값이지만, 추가해 놓는다고 해가 될 것은 없다.
allow_untrusted_routing = no
➡ Open Relay Database 같은 곳에 자신의 메일 서버가 스펨 메일 서버로 등록되지 않으려면, 주의가 필요하다.
– 추가 참고 글
MailWidget은 Apple Mail이 사용하고 있는 POP3 우편함에 새로 들어온 전자우편들의 갯수를 표시해주는 widget으로, 새로 받은 (읽지 않은) 전자우편들을 확인하기 위해 일일이 Apple Mail을 열어볼 필요 없이 Dashboard에서 바로 확인할 수 있게 해준다.
개인적으로 주로 사용하고 있는 전자우편들(gMail과 localhost에 postfix를 켜서 운영되는 메일 서버)은 모두 Apple Mail에서 확인 가능하기 때문에, 해당 전자우편 계정을 확인하는 widget을 동시에 두 개만 띄워놓으면 만사 오케이. 1.4 버전부터는 SSL 접속도 지원한다.
뒷판에서는 매 5 분마다 새로 들어온 전자우편들을 확인하게 할 수 있고, 또 새로운 전자우편이 들어왔을때 여성의 음성으로 알려주는 기능을 선택할 수도 있다. (주의할 것은, 새로운 전자우편 계정을 등록할 때에는, 먼저 “Verify” 과정을 거쳐서 초록색 불이 들어와야만 사용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