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통 웹 문서에 있는 제목들 간의 구분을 위해 우리는 자신의 취향에 맞는 여러 형태의 글자들을 사용해 왔다. 하지만, 이런 글자들이 화면 해독기 사용자들에게는 그저 무의미한 글자로 들릴 수도 있음을 생각해 본 적이 있는가?

이런 제목들 간의 구분을 위해 사용된 글자들이 화면 해독기에서 과연 어떻게 들리는지에 관한 글을 읽어보면, 구분 글자들의 사용에도 세심한 배려가 필요하다는 것을 깨닫게 된다.

물론, 위의 글에 예시된 보기들은 영어판 JAWS 화면 해독기를 본보기로 들었지만, 시각 장애인들이 처해있는 상황을 이해하는 데에도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요는, »와 같은 반복적인 글자 형태로 된 것은 피하고, → (→)와 ★ (★)와 같은 특수 유니코드 글자들은 화면 해독기가 올바로 읽어들이지 못할 수도 있으므로 사용에 주의를 요한다.

결국 가장 무난한 것은 수직 막대 (|), 점 (·) 혹은 수평 막대 (-)가 사용될 수도 있겠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구분 글자들 주의에는 항상 빈 공간으로 둘러싸서 시각 장애인이든 아니든 모두에게 제목들 간의 구별을 쉽게 해주라는 것이다.

여기서, 제목들 사이를 구분해 놓는 글자로 많이 쓰이는 수직 막대(|)의 경우에는, 차라리 다음과 같은 CSS의 테두리 적용 용법을 사용해서 시각적 효과에 관련된 내용은 아예 웹 문서에서 따로 빼줄 수도 있을 것이다.

#navlinks li {
  display: inline;
  margin-right: 0.5em; padding-right: 0.75em;
  border-right: 1px solid #99C;
  font-weight: bold;
}
 
#navlinks li.last {
  border-right: 0;
}

이 글을 읽으면서 또 한 가지 발견한 사실은 청각 기능을 담은 CSS 표준의 존재이다. 물론, 이것도 영어를 기준으로 한 것이지만, 이런 청각 CSS 표준을 지원하는 화면 해독기가 발표된다면, 웹 접근성에 민감한 개발자들은 더욱 세심한 주의가 필요할 것이다.

아무리 웹 접근성을 주장해도 현실은 아직 갈 길이 멀고, 웹 개발자들에게는 더욱 세심한 관심이 요구된다.

관련된 주제의 글

댓글을 남겨 주세요